발굴조사보고서

大邱 鳳舞洞遺蹟 Ⅳ 대구 봉무동유적 Ⅳ

책수 : 187

발행일 : 2011.10.19

발행기관 : 재단법인 영남문화재연구원

페이지수 : 629

규격 : A4변형판(210×284)

조사위치 :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333번지 일원

조사면적 : 72,410㎡

조사연유 : 이시아폴리스 조성에 따른 구제발굴

발굴조사자 : 박상은,최영호,윤민근,손혜성

집필,편집 : 최영호,박상은,윤민근,손혜성

조회수 : 2,139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청동기시대 생활유적 - 구상유구 2기
원삼국시대 생활유적 - 주거지 7동
삼국시대 생산유적 - 용해로 1기, 가마 2기, 제철폐기장 1기
삼국시대 생활유적 - 도로유구 1기, 수레바퀴흔 10기, 부뚜막 1기, 수혈유구 31기, 구상유구 14기, 고상식건물지 4기, 채토장 4개소, 주혈군
삼국시대 분묘유적 - 목곽묘 4기,석실분 1기
자연형성 - 자연구 7기, 습지 3개소

개요

  유적은 대구공항에서 경부고속도로를 가로질러 팔공산으로 향하는 도로(팔공로)의 동편에 위치한다. 조사는 (주)이시아폴리스에서 추진하는 대구지방산업단지 조성부지와 관련한 발굴조사로서, 조사결과 청동기시대 구상유구 2기, 원삼국시대 주거지 7동, 삼국시대 용해로 1기, 가마 2기, 제철폐기장 1기, 도로유구 1기, 수레바퀴흔 10기, 부뚜막 1기, 목곽묘 4기, 석실분 1기, 자연구 7기, 습지 2개소 등 총 94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유물은 무문토기 저부편, 주머니호, 완, 옹, 호, 주조용범, 송풍관, 철재, 노벽체, 고배, 개, 배, 단경호, 도자, 철모, 목기, 석기 등이 출토되었다.
  봉무동 일대의 유적은 주거, 생산, 이동, 매장에 관한 고대인의 공간배치 양상과 도로를 통한 이동과 교류, 지역 집단의 성격 등 이 지역의 문화상을 연구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재단법인 영남문화유산연구원 / 주소 : 39852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천평2길 43(천평리 221)
TEL : 054-971-8085 / FAX : 054-971-8083 / E-mail : ynicp@daum.net

copyright (c) 2016 ynicp.or.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