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굴조사보고서

慶山 中山洞遺蹟 경산 중산동유적

책수 : 249

발행일 : 2019.12.10

발행기관 : (재)영남문화재연구원

페이지수 : 380~477(총6권)

규격 : A4변형판(210×284)

조사위치 : 경상북도 경산시 중산동 1번지 일원

조사면적 : 31,565㎡

조사연유 :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구제발굴

발굴조사자 : 하진호,우병철,이석범,박헌민,권용규,이재광,김경환,이수정,최규진,장기명,박정현,이예진,허다원,김기홍,강경모,박승규,정창희,김지영

집필,편집 : 하진호, 우병철, 이석범, 김경환

조회수 : 857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1. B구역 

1) BⅠ구역
[생활] 
고려~조선시대 - 진단구 1기
일제강점기 - 제방 1기
시대미상 - 소성유구 2기, 집석유구 1기, 구상유구 1기

2) BⅡ구역
[생활]
초기철기시대 - 수혈 5기
삼국시대 - 수혈 1기, 구상유구 2기
[분묘] 
삼국시대 - 석곽묘 13기, 석실묘 2기, 매납유구 1기
통일신라시대 - 골호 1기
고려~조선시대 - 석곽묘 1기, 토광묘 1기

3) BⅢ구역
[생활] 고려~조선시대 - 수혈 9기, 구상유구 3기, 주혈군 1개소
[분묘] 고려~조선시대 - 토광묘 1기

2. 건천지구역
[생산] 고려시대 - 기와가마 3기
[생활] 고려시대 - 구상유구 3기, 수혈 6기

3. C구역 도로구간
[생활]
청동기시대 - 주거지2기
조선시대 - 주거지 1기, 아궁이시설 2기, 적심건물지 1기, 구상유구 3기, 수혈 4기, 야외노지 1기
[분묘]
초기철기 - 목관묘 1기
조선시대 - 토광묘 4기

 

개요

유적은 크게 3개 구역(B구역, 건천지구역, C구역 도로구간)으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 청동기시대에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시간동안 생활·생산·분묘유구가 누층적으로 조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적에서는 총 557기의 유구에서 3,416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유적의 중심이 되는 유구는 단연 삼국시대 분묘유구로 볼 수 있으며, 인근에 위치한 삼국시대고분군 및 생활·생산유적과 더불어 취락유적 등과 비교검토 해봄으로써 삼국시대 시지·경산지역의 지역상을 이해하는데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산동유적은 청동기시대 및 초기철기시대 유구를 비롯하여, 고려·조선시대,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구가 연속적으로 축조되
는 과정을 잘 담고 있어, 통시적인 관점의 지역사 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재단법인 영남문화유산연구원 / 주소 : 39852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천평2길 43(천평리 221)
TEL : 054-971-8085 / FAX : 054-971-8083 / E-mail : ynicp@daum.net

copyright (c) 2016 ynicp.or.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