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기사
게시판 상세
제목 지자체 "보존-개발" 공존대책 절실[매일신문]
작성자 영남문화재(ynicp)  (211.199.41.250)     작성날짜 2004-08-04 00:00:00     조회수 1559  
게재날짜 2004-08-02
지자체 "보존-개발" 공존대책 절실

지금 월배지구에는 대규모 아파트 신축사업이 여러 곳에서 진행되면서 청동기시대 마을과 고인돌, 선돌 등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발굴조사는 시간에 쫓겨 허급지급한 형편이다. 아파트단지마다 개별적인 발굴조사를 하다 보니 월배 선상지에 위치한 여러 유적에 대한 종합적 보존대책이 이뤄지지 못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

발굴조사에 따른 유적의 보존대책은 개발주체가 담당하도록 돼 있어 개발주체는 적극적 보존보다는 개발의 장애물로 인식해 하루빨리 조사가 끝나 공사를 하고픈 마음뿐이다. 심지어 발굴지역을 훼손해 공사를 강행하기도 하니 월배지구 유적에 대한 종합대책은 실종된 지 오래다.

문화재 당국도 지표조사나 발굴조사를 하면 문화재에 관한 모든 것이 해결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듯한 인상이다. 유적의 관리와 보존대책 수립이 지자체에 있음은 당연한 데, 발굴조사 뒤 현지보존정비와 이전복원 등 모든 것이 개발주체에 지워져 있으니 발굴조사가 끝나고 공사가 시작되면 문화재 보존은 강 건너 불구경이 되는 경우가 다반사다. 혹 개발주체가 국가 또는 지자체라고 해도 늘 예산 탓으로 돌리고 마니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그 예로 월드컵 개최를 앞두고 월드컵로 공사를 위해 긴급히 발굴조사를 했고, 그 결과 노변동에서 발굴된 조선시대 사직단과 삼국시대 대규모 고분군의 사적지 지정을 위해 현지보존이 결정됐으나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화재는 한번 허물고 나면 다시 되찾기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개발사업 주체는 문화재와 개발이 공존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데 좀 더 마음을 열고, 지자체는 문화재 보존에 대한 종합적인 방안을 마련하는것이 시급하다.

이제부터라도 보존과 개발이 공존할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겠다.

박승규(영남문화재연구원 연구실장)

매일신문 2004년 8월 2일게재

 
 

재단법인 영남문화유산연구원 / 주소 : 39852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천평2길 43(천평리 221)
TEL : 054-971-8085 / FAX : 054-971-8083 / E-mail : ynicp@daum.net

copyright (c) 2016 ynicp.or.kr. all right reserved.